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00

성령 강림의 다층적 이해 비평적 접근 방법들을 통한 사도행전 2장 분석성령 강림은 하나님 나라의 시작: 다양한 비평적 접근사도행전 2장의 성령 강림 사건은 단순한 역사적 사건이 아니라 다양한 신학적, 역사적, 사회적 의미층을 가진 복합적 사건입니다. 여러 비평 방법을 적용하여 이 본문을 더 깊이 이해해 보겠습니다.모형론적 비평 (Typological Criticism)모형론적 관점에서 오순절 성령 강림은 구약의 여러 사건들의 완성이자 성취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시내산 언약의 완성: 출애굽 후 오순절(칠칠절)은 시내산에서 모세가 율법을 받은 시기와 연관됩니다. 유대 전통에 따르면, 시내산에서 불과 연기가 있었고(출 19:16-18) 하나님의 말씀(토라)이 주어졌습니다. 사도행전 2장에서는 불의 혀와 같은 표징과 함께 성령이 임하셨.. 2025. 4. 9.
사도행전 저자 사도행전 저자에 관한 논쟁사도행전의 저자 문제는 성경 연구에서 중요한 학문적 논쟁 중 하나입니다. 이 논쟁의 핵심은 전통적으로 믿어온 '의사 누가'라는 저자 견해와 현대 성서학에서 제기하는 대안적 관점들 사이의 긴장에 있습니다.전통적 견해: 의사 누가가 저자이다전통적 입장은 세 가지 주요 근거에 기반합니다:교회 전통의 일치된 증언: 이레니우스, 오리겐, 유세비우스와 같은 초기 교부들은 일관되게 바울의 동역자이자 "사랑을 받는 의사 누가"(골 4:14)를 사도행전의 저자로 인정했습니다. 이 견해는 2세기부터 교회에서 널리 받아들여졌습니다.누가복음과의 분명한 연결성: 사도행전 1:1의 "데오빌로여 내가 먼저 쓴 글에서는..."이라는 표현은 누가복음(1:1-4)의 서문과 직접 연결됩니다. 두 책은 문체, 어휘.. 2025. 4. 9.
은사로 세우는 교회 (에베소서 4:7–16) 은사로 세우는 교회 성경을 읽을 때  어떤 사건, 인물, 제도 등이 일정한 패턴을 가지고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부분이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됩니다. 이런 반복되는 구조는 단순히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갖는데 장차 올 더 크고 완전한 실체를 예표하거나 상징하는 방식으로 사용됩니다. 이런 관점을 가지고 성경을 이해하는 것을 "모형론"이라고 합니다. 단순한 역사 이야기가 아니라, 하나님의 구속 방식이 패턴처럼 반복되며 우리 삶에 적용된다는 의미입니다.이런 관점으로 오늘 본문을 들여다 보려고합니다. 1. 모형론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2. 반복되는 패턴들의 예를 설명3. 반복 되는 패턴이 갖는 의미를 설명4. 본문을 이해하고 적용하는 순으로 말씀을 전하겠습니다. 본문은  "우리 각 사람에게 그리스도의.. 2025. 4. 7.
QT 4월 2주차 (4/7-4/12) 월요일: 이 세대가 담당하리라 (눅 11:45-54)1. 본문 배경 및 내용 요약1) 율법사와 예수님의 대화 (45-46절)누가복음 11장에서 예수님은 바리새인들의 외식을 책망하신 후, 한 율법사가 자신들도 욕을 먹는다며 불평합니다. 이에 예수님은 율법사들도 사람들에게 감당하기 어려운 짐을 지우면서 자신들은 한 손가락도 대지 않는다고 책망하십니다. 율법사들은 성경을 해석하고 가르치는 전문가였지만, 자신들이 가르치는 율법의 요구를 지키지 않고 있었습니다.2) 선지자를 죽인 선조들의 죄를 함께 담당함 (47-51절)예수님은 율법사들이 선지자들의 무덤을 만들면서 정작 그들의 조상은 선지자들을 죽였다고 지적하십니다. 이는 그들이 겉으로는 경건한 척하면서도 실제로는 선조들의 행위에 동참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하.. 2025. 4.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