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설교39

열매 맺는 삶 (눅 13:1-9) 오늘 우리가 함께 묵상할 말씀은 "열매 맺는 삶"에 관한 것입니다. 한 나무가 열매를 맺기 위해서는 반드시 거쳐야 할 과정이 있습니다. 뿌리가 땅에 깊이 내려야 하고, 햇빛과 비를 적절히 받아야 하며, 때로는 가지치기의 아픔도 겪어야 합니다. 우리의 신앙 여정도 이와 같습니다.열매 맺는 삶을 살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할 과정이 있습니다. 오늘 본문인 누가복음 13장에서 예수님은 회개와 인내, 그리고 변화된 삶에 대해 말씀하십니다. 오늘 말씀을 통해 우리는 어떻게 하면 하나님께서 기뻐하시는 열매 맺는 신앙인이 될 수 있는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열매 맺는 삶을 살기 위해,1. 진정한 회개가 필요하다: 신앙의 열매는 회개에서 시작된다예수님께서는 본문에서 당시 사람들이 가지고 있던 잘못된 사고방식을 바로잡으셨.. 2025. 3. 17.
"누가 더 사랑하겠느냐" (누가복음 7:36-50) 서론오늘 본문은 한 바리새인의 집에서 벌어진 감동적인 사건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사회적으로 경멸받던 한 여인이 예수님께 다가와 눈물로 회개하고 향유를 부으며 사랑을 표현합니다. 반면, 바리새인 시몬은 외적인 종교적 열심은 있었지만 예수님을 진정으로 사랑하지 않았습니다. 예수님은 이를 지적하며, "누가 더 사랑하겠느냐?"라는 질문을 통해 용서와 사랑의 관계를 가르쳐 주십니다.오늘 우리는 본문을 통해 용서받음과 사랑의 관계, 진정한 믿음의 표현, 구원에 대한 바른 이해에 대해 살펴보려고 합니다.1. 용서받은 만큼 사랑한다"그의 많은 죄가 사하여졌도다 이는 그의 사랑함이 많음이라" (누가복음 7:47)예수님은 바리새인 시몬에게 두 채무자의 비유를 말씀하셨습니다. 한 사람은 500 데나리온을 빚졌고, 다른 사람.. 2025. 3. 15.
열매 없는 신앙을 경계하라 (누가복음 13:1-9) 열매 없는 신앙을 경계하라 (누가복음 13:1-9)본문에서 예수님께서는 두 가지 비극적 사건을 언급하고 계십니다 1) 빌라도의 갈릴리인 학살과 2) 실로암 망대 붕괴 사건입니다. 당시 사람들을 이 사건들을 단순히 타인의 죄에 대한 심판으로 해석했습니다. 예수님께서는 그런 당시의 관점을 뒤집으셨습니다. 이어서 열매 없는 무화과나무의 비유를 통해 신앙의 본질에 대한 심오한 가르침을 주시는데, 이 비유는 하나님의 인내와 자비를 보여주는 동시에, 결국 열매 맺지 않는 신앙은 심판에 직면할 것임을 경고하셨습니다.오늘 우리는 이 말씀을 통해 세 가지 중요한 진리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첫째, 재난은 우리의 영적 상태를 점검할 수 있는 기회입니다. 둘째, 회개 없는 신앙은 결국 죽은 신앙입니다. 셋째, 열매 없는 나무.. 2025. 3. 13.
마가복음 14장 1. 향유를 부은 여인의 헌신 (막 14:3-9)1) 당시 향유(순전한 나드)란 무엇인가?예수님께 향유를 부은 여인이 사용한 것은 "순전한 나드"(ἀλάβαστρον μύρου νάρδου πιστικῆς)였습니다.(1) 나드의 기원과 특징"나드"(Nard, 또는 Spikenard)는 히말라야 지역(인도, 네팔, 중국 티베트 등)에서 자라는 식물에서 추출한 고급 오일입니다.매우 향이 진하고 점성이 강한 기름 형태로, 고대에는 왕족과 귀족들이 사용하던 고급 향유였습니다.유대인들에게 특별한 의식(결혼, 장례)이나 왕에게 바치는 예식에서 사용되었습니다.(2) 나드 향유의 경제적 가치마가복음 14:5에 따르면, 제자들은 이 향유의 가치를 "삼백 데나리온"이라고 평가했습니다.당시 1데나리온은 노동자의 하루 품삯이.. 2025. 3.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