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설교39

부활, 끝이 아닌 시작 (마가복음 16장 1-8절) 부활, 끝이 아닌 시작 (마가복음 16장 1-8절)무덤으로 향한 발걸음, 절망인가 희망인가?예수님의 죽음 이후, 여인들은 향품을 들고 무덤으로 향했습니다. 그 길은 희망이 사라진 길, 죽음을 확인하러 가는 길이었습니다. 그러나 그 무덤에서 그들은 뜻밖의 소식을 듣게 됩니다.“그는 살아나셨고, 여기 계시지 않다!”십자가에서 모든 것이 끝난 줄 알았지만, 부활은 하나님의 새로운 역사의 시작이었습니다. 오늘 우리는 이 부활이 우리 삶에 무엇을 말하는지 함께 나누고자 합니다. 1. 부활은 두려움을 뛰어넘는 하나님의 능력입니다(1-4절) 여인들은 무덤의 큰 돌을 걱정했습니다. 그러나 무덤에 도착했을 때, 돌은 이미 굴려져 있었고, 예수님은 그곳에 계시지 않았습니다.우리가 두려워하는 문제들, 막혀 있는 현실 앞에서.. 2025. 3. 26.
자격 없는 자를 위한 사랑 (누가복음 15:11–32) 자격 없는 자를 위한 사랑 예수님께서 죄인들과 함께 식사를 하고 계셨습니다. 바리새인들과 서기관들이 이 문제를 가지고 예수님을 비난하고 있었습니다. 왜냐하면, 예수님께서 유대인들이 제정해 놓은 정결법을 지키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1) 유대인들은 레위기 등 율법에서 정한 정결법을 매우 중요하게 여겼습니다. • 어떤 음식을 먹는가, • 누구와 접촉하는가, • 어떤 장소에 있는가 등이 부정과 정결을 가늠하는 기준이었습니다. 죄인, 세리, 창기와 같은 이들은 율법을 제대로 지키지 않는 자들로 여겨졌고, 이들과 함께 식사하면 자신도 부정하게 된다고 생각했습니다. 따라서, 죄인들과 식사하는 것은 신앙적으로 타협하는 행위로 간주되었던 것입니다. 2) 또한, 유대사회에서 식사를 함께 한다는 것은 단순히 밥을 나누는 .. 2025. 3. 24.
너희가 먹을 것을 주라 (누가복음 9:10-17) "너희가 먹을 것을 주라" (누가복음 9:10-17)우리는 살면서 자주 부족함과 한계를 마주합니다. 특히 누군가의 필요를 목격할 때, 우리는 종종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없다"는 생각에 사로잡히게 됩니다. 우리의 자원이 제한되어 있고, 우리의 능력이 부족하며, 환경이 우리에게 불리하게 작용할 때, 우리는 무력감을 느끼기 쉽습니다.오늘 말씀에서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놀라운 명령을 하십니다. "너희가 먹을 것을 주라." 이 말씀은 당시 상황에서 거의 불가능해 보이는 요구였습니다. 날이 저물고 있었고, 그곳은 한적한 들판이었으며, 무려 오천 명이나 되는 사람들이 배고픔을 느끼기 시작했습니다. 제자들의 손에는 고작 빵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뿐이었습니다. 그들의 관점에서 이 상황은 그들의 능력으로 해결할 수 .. 2025. 3. 22.
십자가의 고난과 하나님의 계획 (막 15장) 마가복음 15장은 예수님의 고난과 십자가 사건을 기록하며, 인간의 죄와 하나님의 구원 계획이 충돌하는 현장을 생생하게 보여줍니다. 앞서 살펴본 1세기 유대 사회의 복잡한 구조를 바탕으로, 이 장의 의미를 깊이 있게 해석하고 적용해 보겠습니다.1. 인간의 죄악이 예수를 십자가로 몰아넣다 (막 15:1-15) 중요한 메시지:종교 지도자들은 예수를 시기하여 빌라도에게 넘깁니다(15:10).빌라도는 예수님이 무죄임을 알았지만, 군중의 압력에 굴복하여 십자가형을 선고합니다(15:15).군중은 선동되어 죄인 바라바를 석방하고, 예수를 십자가에 못 박으라고 외칩니다(15:11-14).이는 개인의 죄뿐만 아니라, 사회적·정치적 구조 속에서 죄가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보여줍니다.1세기 유대 사회 분석을 통한 해석:대제사장.. 2025. 3.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