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설교

십자가의 고난과 하나님의 계획 (막 15장)

by JP92 2025. 3. 19.

마가복음 15장은 예수님의 고난과 십자가 사건을 기록하며, 인간의 죄와 하나님의 구원 계획이 충돌하는 현장을 생생하게 보여줍니다. 앞서 살펴본 1세기 유대 사회의 복잡한 구조를 바탕으로, 이 장의 의미를 깊이 있게 해석하고 적용해 보겠습니다.


1. 인간의 죄악이 예수를 십자가로 몰아넣다 (막 15:1-15)

 중요한 메시지:

  • 종교 지도자들은 예수를 시기하여 빌라도에게 넘깁니다(15:10).
  • 빌라도는 예수님이 무죄임을 알았지만, 군중의 압력에 굴복하여 십자가형을 선고합니다(15:15).
  • 군중은 선동되어 죄인 바라바를 석방하고, 예수를 십자가에 못 박으라고 외칩니다(15:11-14).
  • 이는 개인의 죄뿐만 아니라, 사회적·정치적 구조 속에서 죄가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보여줍니다.

1세기 유대 사회 분석을 통한 해석:

  • 대제사장과 사두개인: 로마와의 정치적 협력 속에서 성전 권력을 유지하려 했으며, 예수를 제거함으로써 종교적·정치적 위기를 방지하고자 함.
  • 빌라도: 정치적 안정을 위해 정의를 포기하고 군중의 요구를 따름.
  • 군중: 자신들의 메시아 기대(정치적 해방)가 충족되지 않자, 선동에 휘둘려 예수를 배척함.
  • 이는 단순한 개인적 불신앙이 아니라, 사회적 구조 속에서 어떻게 죄가 확대되고 집단적으로 작동하는지를 보여줍니다.

현대적 적용:

  • 오늘날에도 우리는 종종 진리를 알고도 두려움과 이익 때문에 침묵하거나 타협할 때가 있습니다.
  • 대중의 분위기에 휩쓸려 잘못된 선택을 하거나 선동당하는 위험이 있습니다.
  • 사회 구조 속에서 부정의가 정당화될 때, 우리는 어떻게 반응할 것인가?

기도제목:

  • 진리를 따르되, 세상의 압력에 타협하지 않도록
  • 불의한 사회 구조 속에서도 예수님의 가르침을 지킬 수 있도록
  • 선동되지 않고, 하나님 앞에서 바른 판단을 할 수 있도록

2. 십자가 위의 왕, 그러나 조롱받으시는 예수 (막 15:16-32)

중요한 메시지:

  • 로마 군인들은 예수를 ‘유대인의 왕’이라고 조롱하며 가시관을 씌우고 채찍질합니다(15:16-20).
  • 십자가에 못 박힌 후에도, 사람들은 “네가 하나님의 아들이라면 내려와 보라”고 조롱합니다(15:29-32).
  • 그러나 예수님은 자신을 변호하거나 십자가에서 내려오지 않으시고, 십자가를 통해 하나님의 왕 되심을 증거하십니다.

신약의 구약 사용과 모형론적 해석:

  • 시편 22:7-8"그를 보는 자는 다 비웃으며 입을 내밀며 머리를 흔들며 말하되, 그가 여호와께 의탁하니 구원하실 것이라."
    • 마가복음 15장에서 사람들이 예수를 조롱하는 장면과 동일.
  • 이사야 53:3-5"그는 멸시받고 사람들에게 버림받았으며… 우리의 죄악을 그에게 담당시켰도다."
    • 예수님의 십자가 사건이 구약에서 예언된 고난받는 종의 역할을 성취함.
  • 모형론적 해석:
    • 십자가에서 조롱당하시는 예수님은 구약의 희생 제물을 예표하며,
    • 예루살렘 성전에서 드려지던 제사가 이제 십자가에서 완성됨.

현대적 적용:

  • 세상은 여전히 예수님을 약하고 무력한 존재로 조롱하지만, 우리는 십자가가 참된 승리임을 믿어야 합니다.
  • 우리도 신앙을 지키기 위해 세상의 조롱과 비난을 받을 때가 있습니다. 그러나 조롱 속에서도 하나님을 의지해야 합니다.

기도제목:

  • 세상의 조롱 속에서도 예수님을 따를 수 있도록
  • 우리의 믿음이 세상의 가치에 흔들리지 않도록
  • 십자가의 의미를 더욱 깊이 깨닫고 전할 수 있도록

3. 성소의 휘장이 찢어지고, 새로운 시대가 열리다 (막 15:33-47)

중요한 메시지:

  • 예수님이 십자가에서 마지막 숨을 거두시는 순간, 성전의 휘장이 위에서 아래로 찢어짐(15:38).
  • 이는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장벽이 무너지고, 누구나 하나님께 나아갈 수 있는 길이 열렸음을 의미합니다.
  • 이방인 로마 백부장이 “이 사람은 진실로 하나님의 아들이었다”고 고백함(15:39).

모형론적 해석:

  • 성소의 휘장 찢어짐 → 구약의 제사 시스템이 종결되고, 예수님이 새로운 대제사장이 되심(히브리서 9:11-12).
  • 로마 백부장의 고백 → 복음이 유대인을 넘어 이방인에게 확장될 것을 예표.

사회과학적 비평적 해석:

  • 성전은 유대 종교 권력의 중심이었으나, 휘장이 찢어짐으로써 더 이상 성전이 필요 없음을 의미함.
  • 로마 백부장의 고백은, 이제 복음이 유대 종교 지도자가 아닌 이방인을 통해 선포되는 변화를 암시함.

현대적 적용:

  • 우리는 더 이상 특정한 장소(성전)나 특정한 제사 제도를 통하지 않고도 예수님을 통해 직접 하나님께 나아갈 수 있습니다.
  • 신앙은 더 이상 특정 민족이나 계층의 것이 아니라, 모든 사람에게 열려 있습니다.

기도제목:

  • 예수님을 통해 하나님과 더욱 친밀한 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 복음이 모든 사람에게 전파될 수 있도록
  • 예수님의 십자가 사랑을 더욱 깊이 깨닫고 감사할 수 있도록

결론: 마가복음 15장의 핵심 메시지

  1. 인간의 죄는 예수를 거부했지만, 하나님은 그 사건을 통해 구원의 계획을 이루셨다.
  2. 십자가는 세상이 조롱하는 방식으로 나타났지만, 실제로는 하나님의 왕권을 드러내는 순간이었다.
  3. 성소의 휘장이 찢어짐으로 인해, 하나님께 나아가는 새로운 길이 열렸다.